밍키넷: 해외 성인 컨텐츠 제공 사이트와 국내 법적 이슈 무료야동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위살림우 작성일25-09-18 02:12 조회0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54.yadongkorea.icu 0회 연결
-
http://69.bog1.top 0회 연결
본문
[베이징=뉴시스] 조현 외교부 장관이 17일 중국 베이징 주중국대사관에서 한국 언론사 특파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한·중 외교장관회담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2025.09.17 pjk76@newsis.com
[베이징=뉴시스]박정규 특파원 = 조현 외교부 장관이 17일 다음달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참석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다음달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방한도 추진될 것임을 예고했다.
이날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왕 부장과 취임 이후 첫 외교장관회담을 가진 조 장관은 회담 이후 베이징 주(駐)중국대사관에서 한국 언론사 특파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회담 결과와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모던하우스 조 장관은 다음달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이 참석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뤄졌다는 점을 들면서 "방한이 확실한 것으로 느꼈다"고 말했다.
또 왕 부장이 다음달 방한을 추진하기로 했다는 점을 밝히면서 "10월 중에 시간을 잘 잡아보자, 하는 정도로 얘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왕 부장이 모자(직위)를 빌딩중개 여러 개 쓰고 있다"면서 중앙정치국 위원 등을 겸임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고 "방한하게 되면 안보실장과도 면담하고 다층적으로 면담과 회담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장관은 "오늘 장시간 논의를 했지만 사실은 좀 더 여러 디테일에 대해 협의를 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한·중 간에는 수시로 외교장관회담이 필요하다"며 왕 부장의 농협 비과세 적금 방한에 대해 "언제든 가장 빠른 시일 내에 한국에 다시 와서 한·중 외교장관회담을 다시 갖자는 얘기를 한 것의 연장이라고 보면 되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이재명 대통령의 방중과 관련해서는 이날 특별한 얘기가 없었다고 조 장관은 전했다.
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 대해서는 간략한 대화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조 장 성과금 관은 "한반도 비핵화 문제는 (중국의)언급이 없었지만 중국의 대(對)한반도 정책은 변함이 없다는 정도로 얘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북한을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하고 평화통일을 포기하는 정책을 지지해줄 것을 중국과 러시아에 요청했다는 일부 외신 보도와 관련해서도 해당 언급이 있었다는 점을 시사했다.
제일은행인터넷뱅킹 해당 사안에 대해 왕 부장과 논의했는지 여부를 묻자 조 장관은 "중국이 북한에 '적대적 한반도 두 국가론'이나 그런 것에 대해 북측의 설명을 들은 것 같고, 이에 대해 간략한 설명을 저도 들었다"면서도 "디테일에 대해서는 중국 측(의 입장)이 있기 때문에 그 정도로만 말씀드리겠다"고 선을 그었다.
[서울=뉴시스]조현 외교부 장관은 17일 중국 베이징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 및 만찬을 갖고 한중관계와 한반도 문제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사진=외교부 제공) 2025.09.17 *재판매 및 DB 금지
중국이 지난 정부의 대중국 정책에 대해 불만을 내비쳤다는 점도 언급했다.
조 장관은 "지난번 왕 부장과의 통화 때도 있었고 이번에도 있었는데, 중국 측 얘기 중 특징적인 것 하나는 지난 정부의 대중 외교정책에 대한 실망과 비판이나 이런 것이 상당히 있었다"며 "'중국 측 입장을 이해한다. 그러나 신(新)정부 대중 외교정책은 이렇고 한반도 긴장 완화, 평화 정착 노력을 이렇게 하고 있다'는 설명 정도로 (우리 측 답변을)갈음했다"고 밝혔다.
대만 문제와 관련해 조 장관은 "이재명정부의 실용외교 정책에 따라 갖고 있는 원칙, 즉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계속해서 존중한다, 그리고 대만 문제에 관한 한 현상 유지를 지지한다는 것, 더 나아가서는 동북아에서 평화 유지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하고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같은 것도 더 열심히 추진했으면 좋겠다는 설명을 했다"며 "이에 중국 측도 원칙적으로 공감을 표시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설치한 서해 구조물에 대한 정부의 문제 제기에 대해서는 "(중국 측이)아주 성실한 답변을 했다"면서 "중국 측은 이 문제에 관한 한 이미 한·중 간 실무 협의가 잘 진행되고 있으니 그 협의에 따라서 이 문제를 관리해나가자, 이렇게 얘기했다"고 조 장관은 말했다.
아울러 반중(反中) 시위 등과 관련해서는 중국이 최근 한국 정부가 취한 조치에 감사를 표했다고 전하면서 "저는 '한국은 민주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반중 시위뿐 아니라 반미 시위도 일어나고 있다. 이런 것은 한국 정치체제상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이다. 다만 도를 넘지 않도록 한국 정부가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왔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한한령(限韓令·한류금지령)' 문제에 대해 조 장관은 "큰 틀에서 문화 협력을 더 해나가야 한다는 얘기를 했다"면서도 구체적인 논의로는 이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날 조 장관과 왕 부장의 만남은 1시간30분의 회담 이후 1시간30분 동안 업무만찬이 이어지는 등 3시간가량 진행됐다.
조 장관은 이날 만남에 대해 "결론적으로 자평한다면 매우 좋은 첫 걸음을 뗐다"며 "중국 정부도 한국 신정부의 외교정책을 평가하고, 앞으로 이재명정부와 긴밀히 소통하고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켜나가는 데 대한 희망 등을 피력했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pjk76@newsis.com
[베이징=뉴시스]박정규 특파원 = 조현 외교부 장관이 17일 다음달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참석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다음달 왕이 중국 외교부장의 방한도 추진될 것임을 예고했다.
이날 중국 베이징을 방문해 왕 부장과 취임 이후 첫 외교장관회담을 가진 조 장관은 회담 이후 베이징 주(駐)중국대사관에서 한국 언론사 특파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회담 결과와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모던하우스 조 장관은 다음달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이 참석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뤄졌다는 점을 들면서 "방한이 확실한 것으로 느꼈다"고 말했다.
또 왕 부장이 다음달 방한을 추진하기로 했다는 점을 밝히면서 "10월 중에 시간을 잘 잡아보자, 하는 정도로 얘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왕 부장이 모자(직위)를 빌딩중개 여러 개 쓰고 있다"면서 중앙정치국 위원 등을 겸임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고 "방한하게 되면 안보실장과도 면담하고 다층적으로 면담과 회담 기회를 갖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장관은 "오늘 장시간 논의를 했지만 사실은 좀 더 여러 디테일에 대해 협의를 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한·중 간에는 수시로 외교장관회담이 필요하다"며 왕 부장의 농협 비과세 적금 방한에 대해 "언제든 가장 빠른 시일 내에 한국에 다시 와서 한·중 외교장관회담을 다시 갖자는 얘기를 한 것의 연장이라고 보면 되겠다"고 덧붙였다.
다만 이재명 대통령의 방중과 관련해서는 이날 특별한 얘기가 없었다고 조 장관은 전했다.
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 문제에 대해서는 간략한 대화가 오간 것으로 알려졌다. 조 장 성과금 관은 "한반도 비핵화 문제는 (중국의)언급이 없었지만 중국의 대(對)한반도 정책은 변함이 없다는 정도로 얘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북한을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하고 평화통일을 포기하는 정책을 지지해줄 것을 중국과 러시아에 요청했다는 일부 외신 보도와 관련해서도 해당 언급이 있었다는 점을 시사했다.
제일은행인터넷뱅킹 해당 사안에 대해 왕 부장과 논의했는지 여부를 묻자 조 장관은 "중국이 북한에 '적대적 한반도 두 국가론'이나 그런 것에 대해 북측의 설명을 들은 것 같고, 이에 대해 간략한 설명을 저도 들었다"면서도 "디테일에 대해서는 중국 측(의 입장)이 있기 때문에 그 정도로만 말씀드리겠다"고 선을 그었다.
[서울=뉴시스]조현 외교부 장관은 17일 중국 베이징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 및 만찬을 갖고 한중관계와 한반도 문제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사진=외교부 제공) 2025.09.17 *재판매 및 DB 금지
중국이 지난 정부의 대중국 정책에 대해 불만을 내비쳤다는 점도 언급했다.
조 장관은 "지난번 왕 부장과의 통화 때도 있었고 이번에도 있었는데, 중국 측 얘기 중 특징적인 것 하나는 지난 정부의 대중 외교정책에 대한 실망과 비판이나 이런 것이 상당히 있었다"며 "'중국 측 입장을 이해한다. 그러나 신(新)정부 대중 외교정책은 이렇고 한반도 긴장 완화, 평화 정착 노력을 이렇게 하고 있다'는 설명 정도로 (우리 측 답변을)갈음했다"고 밝혔다.
대만 문제와 관련해 조 장관은 "이재명정부의 실용외교 정책에 따라 갖고 있는 원칙, 즉 '하나의 중국' 원칙을 계속해서 존중한다, 그리고 대만 문제에 관한 한 현상 유지를 지지한다는 것, 더 나아가서는 동북아에서 평화 유지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하고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 같은 것도 더 열심히 추진했으면 좋겠다는 설명을 했다"며 "이에 중국 측도 원칙적으로 공감을 표시했다"고 설명했다.
중국이 설치한 서해 구조물에 대한 정부의 문제 제기에 대해서는 "(중국 측이)아주 성실한 답변을 했다"면서 "중국 측은 이 문제에 관한 한 이미 한·중 간 실무 협의가 잘 진행되고 있으니 그 협의에 따라서 이 문제를 관리해나가자, 이렇게 얘기했다"고 조 장관은 말했다.
아울러 반중(反中) 시위 등과 관련해서는 중국이 최근 한국 정부가 취한 조치에 감사를 표했다고 전하면서 "저는 '한국은 민주주의 국가이기 때문에 반중 시위뿐 아니라 반미 시위도 일어나고 있다. 이런 것은 한국 정치체제상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이다. 다만 도를 넘지 않도록 한국 정부가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왔다'고 했다"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한한령(限韓令·한류금지령)' 문제에 대해 조 장관은 "큰 틀에서 문화 협력을 더 해나가야 한다는 얘기를 했다"면서도 구체적인 논의로는 이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날 조 장관과 왕 부장의 만남은 1시간30분의 회담 이후 1시간30분 동안 업무만찬이 이어지는 등 3시간가량 진행됐다.
조 장관은 이날 만남에 대해 "결론적으로 자평한다면 매우 좋은 첫 걸음을 뗐다"며 "중국 정부도 한국 신정부의 외교정책을 평가하고, 앞으로 이재명정부와 긴밀히 소통하고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발전시켜나가는 데 대한 희망 등을 피력했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pjk76@newsis.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